2023년 1월부터 직장인의 식대 비과세 한도가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작년 8월 경에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확정된 것인데요. 물가가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경제적인 부담이 늘어나 이를 완화시키고자 비과세 대책을 마련한 것입니다. 식대 비과세 한도가 상향조정 됨에 따라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내용
20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직장인의 식대 비과세 한도는 기존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조정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도 그랬지만 모든 직장인이 적용받는 것은 아닙니다.
구내식당 등 회사에서 식사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식대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즉, 식사를 제공받지 않고 현금으로 식대를 제공받는 경우에만 식대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신경 써야 할 점은 만약 비과세 적용을 받지 않다가 받기 시작했거나 금번부터 변경된 식대를 적용한다면 근로계약서 상에 명확하게 기재를 해주어야 합니다.
효과
그렇다면 식대 비과세가 상향 조정되면 회사와 근로자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근로자
- 4대 보험에서 본인 부담금 절세효과(산재보험 제외)
- 급여 실수령액 증가
- 작년 대비 2배의 소득세 감소 효과
구분 | 비과세 효과금액 | ||
과세표준 | 한계 세율 | 월 10만원 | 월 20만원 |
연간 120만원 | 연간 240만원 | ||
12,000,000원 이하 | 6% | 72,000 | 144,000 |
12,000,000원 초과 46,000,000원 이하 | 15% | 180,000 | 360,000 |
46,000,000원 초과 88,000,000원 이하 | 24% | 288,000 | 576,000 |
88,000,000원 초과 150,000,000원 이하 | 35% | 420,000 | 840,000 |
150,000,000원 초과 300,000,000원 이하 | 38% | 456,000 | 912,000 |
300,000,000원 초과 500,000,000원 이하 | 40% | 480,000 | 960,000 |
500,000,000원 초과 1,000,000,000원 이하 | 42% | 504,000 | 1,008,000 |
1,000,000,000원 초과 | 45% | 540,000 | 1,080,000 |
회사
- 4대 사회 보험료 회사 부담금 감소 효과
- 식대를 복리후생비로 경비 처리할 경우 사업소득세 절감 가능
건강보험료 절감
- 건강보험료 책정은 소득법에 따르므로 건보료 인하 예상
퇴직금 미영향
- 퇴직소득 금액에서는 퇴직금 여액에서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이 세금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퇴직금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마치며
결론적으로 직장인 평균 연봉대를 감안한다면 작년 대비 1~30만 원 정도의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입니다. 본인 급여에서 식대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을 하려면 회사에서 제공하는 급여명세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직장인 식대 비과세 한도 상향 조정에 따른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며 좋은 글>
고용보험 실업급여 빨리 받는 방법 신청자격 신청방법
고용보험 실업급여는 실직한 사람들이 재취업할 때까지 활동을 할 수 있게 급여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다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떻게 하면 실업급여를 받
kun3.tistory.com
무인민원발급기 시간 위치 발급가능서류 인터넷 발급
기본적으로 주민등록등본이나 초본은 주민센터에 가서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동사무소가 24시간 운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퇴근 후나 공휴일에 주민등록등본이 필요한 경우에는 평
kun3.tistory.com
근로계약서 작성시기와 필수 기재사항 (근로계약서 양식 다운로드 가능)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 중에 근로계약서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근로계약서 작성은 언제 하는지, 내가 보고 있는 근로계약서가 제대로 된 양식이 맞는지 믿고 서명은 해도 되
kun3.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대리 과속 과태료 접수 손쉽게 하는 방법 (0) | 2023.02.26 |
---|---|
단속 카메라 앞에서 속도 줄여도 범칙금 6만원? 팩트체크 들어갑니다. (0) | 2023.02.24 |
2023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0) | 2023.02.22 |
주택연금 가입요건 지급방식 연금수령액 장단점 총정리 (0) | 2023.02.19 |
고용보험 실업급여 빨리 받는 방법 신청자격 신청방법 (1) | 2023.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