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by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2023. 2. 22.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주거비 부담을 완화시키고자 정부에서 진행 중인 제도입니다. 만 19~34세 청년이 대상이며 최대 24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청년월세-한시-특별지원-대표사진

지원대상

청년월세 지원은 기본적으로 청년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나이 등 조건에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만 19~34세 청년
  • 독립거주 무주택자
  • 청년독립가구의 경우: 중위소득 60% 이하 + 총 재산 1억 7백만원 이하
  • 원가구의 경우: 중위소득 100% 이하 + 총 재산 3억 8천만원 이하

여기서 청년독립가구는 청년, 배우자, 직계비속,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그 외 민법상 가족을 포함하며, 원가구청년독립가구, 1촌이내 직계혈족(부ㆍ모)을 포함합니다.

 

 

중위소득 기준은 2022년이 기준이 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청년가구) 2022년 기준 중위소득 60%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1,166,887원 1,956,051원 2,516,821원 3,072,648원 3,614,709원 4,144,202원 4,668,355원

▶(원가구)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7인 가구
1,944,812원 3,260,085원 4,194,701원 5,121,080원 6,024,515원 6,907,004원 7,780,592원

지원내용

월세로 거주 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실제로 납부하고 있는 월세(임대료)최대 24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지원금은 매달 최대 20만 원씩 12개월 동안 지급됩니다. 지급일매월 25일입니다.

실제 납부하고 있는 월세만 해당이 되며, 임차보증금, 관리비 등은 제외됩니다. 또한, 주거급여 수급자의 경우에는 주거급여액 중 월차임분을 차감한 금액만 지원합니다.

신청기간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은 2022년 8월 22일부터 진행되었고 2023년 8월 21일마감될 예정입니다. 해당되는 분들은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신청방법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을 신청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방문 신청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청년 본인이 직접 신청
  • 청년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게 불가능하다면 법정대리인,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 배우자, 직계존ㆍ비속이 대리 신청 가능
  • 대리인 신청 시에는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을 지참하여 주민센터에 방문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https://www.bokjiro.go.kr/) 로그인(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공동인증서)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검색
  • 신청하기 클릭
  • 신청인 정보 입력
  • 신청서 작성
  • 구비서류 첨부
  • 신청완료

참고로 신청이 완료되면 보통 30일 이내로 결과가 통보된다고 합니다.

 

 

☞제출서류

청년월세-한시-특별지원-제출서류

보다 자세한 사항은 전담 콜센터(1600-0777)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의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갤럭시 북3 울트라 스펙 사전예약 출시일 가격

삼성전자에서 2023년 2월 1일에 갤럭시 북 3 프로 시리즈를 첫 공개하였습니다. 가장 높은 프리미엄 단계인 갤럭시 북 3 울트라,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어 있어 S펜 활용이 가

kun3.tistory.com

 

삼성페이 교통카드 인식 오류, 모바일 결제 오류 해결방법

삼성페로 결제뿐만 아니라 교통카드로도 사용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하지만 교통카드 등록까지 마쳤으나 어떤 이유인지 인식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을

kun3.tistory.com

 

제 1금융권과 제 2금융권 은행 종류와 장단점, 예금자보호, 세금우대 받는 방법

금리가 높아지면서 은행 예금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관심이 증가하면서 궁금한 점도 많으실 텐데요. 저도 최근에 예금 금리를 알아보면서 어디 은행에 예금 상품을 가입할지 열심히 찾

kun3.tistory.com

반응형

댓글